1.STP (Spanning-tree protocol) - Port blocking
1) Root SW
-> SW의 MAC ID는 priority+MAC add로 구성된다.
1-1) Root SW(PORT)의 선정 조건
① PATH COST (10G = 2, 1G = 4, 100M = 19, 10M = 100)
② SW ID
③ SW PORT ID(e0/1, e0/2 ...)
* ①~③ 중 낮은 값이 Root SW(Port)가 된다.
1-2) Designate Port
Root port와 Non-Designate port 선정 후 나머지 port가 Designate port가 된다.
1-3) Non-Designate port
사용하지 않는 cable을 연결하는 두 port 중 한 port만 Blocking 하면 되는데, 이 Blocking port를 Non-desinate port
라고 한다.
1-3-1) Non-Designate port의 선정 조건
① PATH COST (10G = 2, 1G = 4, 100M = 19, 10M = 100)
② SW ID
③ SW PORT ID(e0/1, e0/2 ...)
* ①~③ 중 가장 높은 값이 Non-Designate port가 된다.
Practice 1)
S18,19,20
SW(conf)#show spanning-tree
각 SW확인 시 S19가 Root SW인걸 확인할 수 있고 S20 e0/3이 non-designate port = blocking port인걸 확인할 수 있다.
2) VLAN(Virtual LANs)
1 BROADCAST DOMAIN , 1 SUB NET 보유하고 있고, 다른 NETWORK 대역을 가지고 있다.
ROUTER를 사용하지 않고 L2 SW를 사용하여 다수의 상이한 SUBNET을 만들 수 있다.
* SW의 물리적 가격이 높기 때문에 최근에는 port가 40여 개 까지도 있다.
> 하나의 SW로 다른 대역의 NETWORK들을 VLAN 설정을 통해 PORT만 구별하여 사용 가능하다.
① default Vlan
1번 Vlan으로 기본의 vlan
② native Vlan
default로 not tagged frame들을 위한 a native VLAN 정의.
802.1Q native Vlan은 다음중 하나로 정의된다.
③ management Vlan
3) Trunk(VTP:Vlan Trunking Protocol)
다른 SW 간 정보를 주고받아야 하는데, VLAN이 다를 경우 DATA를 주고받을 수 없는데, 이를 가능하도록 한다.
Trunking된 VLAN 간 DATA DELIVERY시 이때도 ENCAPTULATION이 모두 발생한다.
NETWORK 1) VPC2,3,4
NETWORK 2) VPC5,6,7
NETWORK 3) VPC8,9,10
각 그룹이 같은 NETWORK 대역일 때, DATA를 주고 받을때 NETWORK 혼잡이 발생하므로 VLAN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ex) VLAN 설정을 하는 경우
VPC2 에서 VPC10으로 PING을 보낼경우 같은 VLAN은 PACKET을 보내지 않는데, VLAN설정이 되어 있으면 같은 VLAN설정 VPC들에겐 PACKET을 보내지 않는다.
ex) SW에서 VLAN설정 -> SW(conf)#vlcan vlan-id (id는 1~4094 의 값 사용 가능)
SW(conf)#vlan 1
SW(conf-vlan)#name vlan10
SW(conf-vlan)#end
ex) SW에서 VLAN 삭제 방법
SW(conf)#no vlan 1
SW(conf)#end
① server mode
모든 SW의 default mode.
Vlan을 만들고, 변경, 제거 할 수 있다. 설정은 NVRAM에 저장된다.
server mode에서 만들어진 변경은 Trunk를 통해 VTP domain에 전파된다.
② client mode
VTP server로 부터 Update받고, Forward시킨다.
Vlan을 만들고, 변경, 제거 할 수 없다.
③ Trans-parent mode
server가 만들면 forward를 한다.
특정 SW만 따로 빼내 Trans-parent mode로 사용.
server가 만드는 정보를 반영하진 않지만 자체적으로 정보를 만들 수 있다.
④ Forwaring mode
store and forward -> frame을 buffer에 저장.
fragment free -> frame 전반 64bite만 읽는다.
⑤ Duplex
1)half duplex
일방향 data flow
높은 collision 가능성이 있다.
hub를 통한 연결의 경우
micro segmentation > mac table에 data가 저장된경우 모두 통신이 가능하다.
2)full duplex
p-to-p에서만 가능
dedicated switched port에 연결
양쪽에서의 full-duplex 지원 요구
collision free and circuit disabled.
PRACTICE 2)
SW에서 vtp domain "ICND" 로 변경하면
모든 server mode 스위치로 전달이 되어 반영된다.
각각 SW모드 변경은 해당
SW terminal에서
SW(conf)#vtp mode client / transparent / server 로 변경 가능하다
Server mode SW에서 내용을 전달하게되면 Client SW에는 반영이 되고 Transparent mode SW에는 반영이 되지 않음을 확인.
*** SW VTP operationg mode는 굳이 사용 안해도 무관하다.
굳이 사용 한다면 Trans parent mode가 효율적인데, server mode 사용시 다른 SW로 오정보를 전달 할 수 있기 때문.
PRACTICE 3)
* SW > port-channel 생성 및 설정
S18 >
S18(conf)#int range e1/0, e1/3
S18(conf)#channel-group 1 mode desirable
S18(conf)#int range e2/0, e1/1
S18(conf)#channel-group 2 mode desirable
---------------------------------------
logical port-chnnel 1,2 생성
S18(conf)#int po 1
S18(con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18(conf)#switchport mode trunk
S18(conf)#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10,20,30
S18(conf)#int po 2
S18(conf)#switchport trunk encapsulation dot1q
S18(conf)#switchport mode trunk
S18(conf)#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10,20,30
--------------------------------------------------
*** SW19, 20도 각각 채널 Grouping&port-channel 생성 후 Trunk 선언을 해야 각 VPC간 통신이 가능해진다.
각 작업 설정들이 잘 작동하는지, 설정 되었는지 확인.
2. ISL(Inter Switch Links)
'NETWOR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nsive-1 (0) | 2022.03.31 |
---|---|
Routing - 1 (0) | 2022.03.30 |
Switching - 1 (0) | 2022.03.29 |
Data delivery - Topology (0) | 2022.03.28 |
Data delivery - Topology (0) | 2022.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