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AS끼리 BGP를 사용하지 않고 OSPF를 쓰는 이유 ?
> 속도 저하의 문제와, 굳이 알지 않아도 되는 경로를 전달하기때문에 OSPF가 효율적
> 최근 추세는 BGP점점 더 많이 사용하는데, 이유는 RR(Router Reflection) 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
BGP는 PATH-VECTOR ROUTING PROTOCOL
> 거리 (AS의 홉) (AS-by-AS)
> 최적 경로만 전달
> Metric(경로를 선택하는 역할)이라 하지 않고, Attributes(AS-path)라고 함.
TCP위에서 작동 179번 port사용
BGP : L2 | L3 | TCP 179 | BGP
OSPF : L2 | L3 | OSPF |
공통점 : 변화된 정보에 대해서만, 변화된 즉시 Update 한다.
차이점 : keepalive 60sec/OSPF hello 10sec
5. 3개의 BGP-Table
#neighbor table (#sh ip bgp summary)
#bgp table (#sh ip bgp)
>> neighbor로 부터 받은 모든 경로 저장
>> 경로의 next-hop, split-horizon을 확인
>> attributes 값으로 최적경로 선택
#routing table (#sh ip route bgp)
(RIB) >> Software로 동작 (CPU)
>> 최적경로 loading
>> B(EBGP 20), (IBGP 200)
#CEF TABLE (#sh ip cef)
(FIB) >> Hardware로 동작
6. BGP Packet
1) OPEN (Neighbor를 맺기 위해 사용되는 packet) >> OSPF의 hello message와 같은역할
2) keepalive (Neighbor를 health check하는 packet) >> 60sec / holdtime 180sec OSPF의 hello message와 같은역할
3) Update (자신의 최적 경로를 전달하는 packet)
4) notification
7. BGP Neighbor
1) Unicast Neighbor (vs Multicast Neighbor)
2) TCP 3-WAY-Handshake
3) OPEN
EBGP (TTL=1) 바로 옆에 붙어있어야 EBGP가능
IBGP (TTL=255) 떨어져 있어도 같은 AS안에서 RR로 Neighbor 관계 가능
8. IBGP 특징
Transit AS(ISP)에서 IBGP가 필요한 이유,
AS안에 있는 모든 ROUTER가 BGP동작 해야하는 이유
AS안에서 RR을 사용하는 이유
12. Peer-Group
BGP Configuration을 그룹화 하여, 적용하는 기능.
Peer Group 사용 안함
Peer Group 사용
R2
#router bgp 2
#neighbor 1.1.1.1 remote-as 2
#neighbor
13. BGP Network command
>> BGP에서 특정 경로를 광고하기 위해 사용
>> OSPF 와는 다르게, 반드시 정확한 SUBNETMASK를 적용해야 합니다.
int lo 0
ip add 1.1.1.1 255.255.255.0
router bgp 1
network 1.1.1.0 mask 255.255.255.0
network 1.1.1.1 mask 255.255.255.255
>> Loopback 설정시 맞추어 주어야 함
router bgp 1
network 1.1.1.1 mask 255.255.255.255 >>> connected
network 172.16.11.0 mask 255.255.255.0
15. BGP Table
>>Neighbor로부터 받은 모든 경로가 저장됨
#show ip bgp
> BEST
> i = IBGP Neighbor로 부터 받은 경로
* = 문제가 없는 경로
r = RIB failure (routing table에 올라가지 못한 경로)
r> = BGP로부터 받은 경로중 최적의 경로지만, ROUTING TABLE에는 올라가지 못함.
#clear ip bgp * >> neighbor를 down/up 시키는 command
#
BGP 경로선택
1. OSPF > Bandwidth
BGP에서 경로 선택 - Attributes
경로가 2개 있는 경우 Weight값이 높은 경로를 우선시
AS가 짧은쪽 경로를 선택
2. BGP > weight
bgp경로선택 1순위
아무런 의미가 없는 값이고, default는 "0"값이 적용됨. 높은 값을 우선시하고 BGP Neighbor에게 전파함.
#set weight xxx
2) Local Preference
bgp경로선택 2순위
아무 의미 없는 값 , default는 "100"값이 적용됨, 높은 값을 우선시 하고 IBGP Neighbor를 전파하는 경우 적용됨
#set local proference
outbound traffic 조정 (route-map xxx in)
3) next-hop
BGP 경로 선택 3순위
경로 가기 위한 다음 라우터
- 0.0.0.0 (Weight 32768)
4) AS-PATH
BGP 경로 선택 조건 4번 (선택되는 일반적인 경우)
경로가 지나온 AS를 알려주는 인자
Default로 ebgp로 전파하는 경우 자신의 as를 추가함
짧은 값을 우선시함
EBGP, IBGP 에게 모두 전파. 단 IBGP Neighbor로 전파하는 경우, 자신의 as는 추가하지 않음
set as-path prepend 12 12
inbound traffic을 조정 (route-map xxx out)
'NETWOR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BGP-ACL (0) | 2022.04.14 |
---|---|
BGP - 경로선택(Attributes) (0) | 2022.04.14 |
IBGP - Neighbor (0) | 2022.04.11 |
OSPF (0) | 2022.04.08 |
Final LAB-OSPF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