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ASIC COMMANDS
** 대소문자 구분
UNIX/LINUX에서는 대/소문자 구분을 명확히 해야한다.
PROMPT에서 '$'일때는 일반 사용자 '#'이면 root사용자 상태이다.
1. RUNLEVEL
init 명렁어 뒤에 붙는 숫자를 RUNLEVEL이라고 한다.
LINUX는 SYSTEM이 가도오디는 방법을 7가지 RUNLEVEL (0~6)로 나눌 수 있다.
RUN LEVEL | 영문 모드 | 설명 | 비고 |
0 | POWER OFF | 종료 모드 | |
1 | RESCUE | 시스템 복구 모드 | 단일 사용자 모드 |
2 | MULTI-USER | 사용하지 않음 | |
3 | MULTI-USER | 텍스트 모드 다중 사용자 | |
4 | MULTI-USER | 사용하지 않음 | |
5 | GRAPHICAL | 그래픽 모드 다중 사용자 | |
6 | REBOOT |
2. 자동완성 / HISTORY
자동 완성은 파일 이름의 일부만 입력한 후 TAB키를 눌러 나머지 파일 이름 또는 폴더 이름을 자동으로 완성하는 기능을 말한다.
위 사진은 history입력후 사용 했던 명령어 모음을 볼 수 있는 command인데, 위 command중
명령어가 길 때 일부 단어만 입력후 TAB키를 누르면 자동 완성이 된다.
3. DIRECTORY 만들기
mkdir [이름]
abc directory 안에 aaa.txt 파일 만들기 및 tree ~/test 로 test directory 하위 directory tree로 보기
4. EDITOR 사용
vi editor
5. USER 생성/삭제
반응형
'가상화(VMwar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NAME SERVER) (0) | 2022.05.30 |
---|---|
LINUX UBUNTU DBMS (0) | 2022.05.27 |
LINUX UBUNTU-HDD / RAID / VG (0) | 2022.05.26 |
LINUX UBUNTU-COMMAND 2 (0) | 2022.05.25 |
LINUX-UBUNTU 구성 (0) | 202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