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ing - 2
IP infra
- network / server / storage > hardware >>> 가상화 Infra를 만듬
가상화 infra의 문제 ? 비용이 많이 든다.
Network의 구성
L2 : 하나의 Broadcast 구간에서 통신하는 방법
- MAC ADDRESS(ARP)로 경로 찾아 통신
- MAC ADDRESS-TABLE > (Learning)
- Flooding
- 300sec
- Transparent(data의 변화를 주지 않음)
- #show mac-address-table
- 1개의 최적 경로만 사용
L3 : Broadcast 간 통신하는 방법
- IP ADDRESS(DNS)로 호스트나, 도메인의 IP확인
- IP ADDRESS TABLE(ROUTING TABLE, RIB:ROUTING INFORMATION BASED)
> connected, static, dynamic (routing protocol : OSPF, BGP)
- DROP
- 유지
- L2 HEADER를 변경
- #show ip route
- Loadbalancing
PC -------- DEVICE -------- PC
LAN DATA통신 > PC ----- L2 ----- L3 ----- L2 ----- PC
WAN DATA통신 >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DATA CENTER >
1. Connected " C " 로 표기 10.1.12.0/24 Fa0/0
2. Static " S " 로 표기 10.1.12.0/24 [1|0] via 1.1.1.2
config)#ip route 10.1.12.0 255.255.255.0 1.1.1.2
config)#ip route 0.0.0.0 0.0.0.0 1.1.1.2
3. Dynamic " O, D, R, B" >> Routing protocol을 통해서 자신의 경로를 광고하는 방식.
OSPF
BGP
2. Routing Protocol의 사용
IGP : OSPF (회사 내)
>> Convergence : Network이 활성화 되면 빠르게 광고
Bandwith : 최적경로 searching
자신이 알고 있는 모든 경로를 전달
pf) 동작 방식이 자회사와 다른 회사간 network 즉 수많은 ip와 networking시 모두를 수용 할 수 없다.
EGP : BGP (다른 회사간) : 많은 양의 Routing Table을 유지 관리(70만 이상), Routing 정책을 적용.
3.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최단 경로 우선 Protocol)
>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든 경로/ 상대방이 준 모든 경로를 합쳐 전체 NETWORK중 최적의 경로로 ROUTING-TABLE 을 만듬
3.1 OSPF table
- neighbor table #show ip neighbor
- database table #show ip database
"update message" > database를 만듬
1.1.1.0/24 E0/0 >>> 10M
1.1.1.0/24 S2/0 >>> 1.5M
spf > bandwith로 최적경로를 찾음 > routing table로 보냄
- routing table #show ip route ospf
O 1.1.1.0/24 [110|X] via R1 E0/0
R1) conf)#router ospf 1
network 1.1.1.0 0.0.0.255 area 0
network 10.1.12.0 0.0.0.255 area 0
network 10.1.21.0 0.0.0.255 area 0
3.2 OSPF Packet
1. hello packet : neighbor를 맺기위한 인사, 주기적인 health check
2. DBD Packet : database description(database를 요약한 경로)을 줌
3. LSR(Link state Routing) Packet : network에 대한 상세정보 요청
4. LSU(Link state updatae) Packet : 상세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
5. Ack packet : 수신확인
L2 Ethernet | L3 IP | L4 TCP | AH | DATA
L2 Ethernet | L3 IP | OSPF | OSPF DATA |
L2 : MAC ADDRESS
L3 : IP ADDRESS, PROTOCOL(L4)
L4 : TCP, UDP
AH : HTTP, Telnet, HTTPs
3.3 OSPF Metric
>> Metric은 동일한 목적지에 대해 최적 경로를 선택할때 사용하는 인자.
>> OSPF는 METRIC을 BANDWIDTH로 계산합니다.
BANDWITH / 10^8 == COST
>> conf)#int e0/0
conf-if)#bandwidth 10000
conf-if)#ip ospf cost 10
conf)#int s2/0
conf-if)#bandwidth 1544
conf-if)#ip ospf cost 64
3.4 OSPF AREA
>> OSPF는 NETWORK를 다시 AREA로 구분
>> AREA를 통해 ROUTING TABLE을 줄이고 ROUTING UPDATE를 줄임
>> AREA 구성을 통해, 체계적인 NETWORK TOPOLOGY가 만들어짐
>> BACKBONE AREA (중심 AREA) : AREA 0
>> Non backbone AREA : AREA 1, AREA 100, AREA 51 ...
>> AREA는 ROUTER기준이 아니라, ROUTER의 INTERFACE기준
>> ABR(AREA BORDER ROUTER) : AREA를 2개를 이상 가지고 있는 ROUTER (단, 반드시 AREA 0를 가지고 있어야 함) area간 통신은 반드시 area 0 을 통해서 통신함 (계층적구조)
>> ASBR (AS boundary router) : 다른 회사, 다른 protocol 과 연결된 router (300만원정도....)
PRACTICE 1)
Q1. 4대의 Router로 OSPF/AREA 설정 및 LOOPBACK 특정 AREA에 포함
R2,R3간에 AREA0를 구성.
R1,R2간에 계층적인 Routing을 위하여, AREA1를 구성.
R3,R4간에 계층적인 Routing을 위하여, AREA2를 구성.
C1. #show ip route ospf 로 보면 O, O IA 2종류의 경로를 확인.
O >> 동일 AREA의 경로를 의미 (Intra area 정보)
O IA >> 다른 AREA의 경로를 의미 (Intra area 정보)
C2. AREA를 단순히 분리 한다고 ROUTING TABLE이 줄어들지 않는다.
>> 생성한 AREA에 속성을 적용해, ROUTING TABLE이 줄어듬.
3.5 OSPF LSA TYPE
LSA (Link State Advertisement)
LSA Type1(router link state area) >> O (같은 area) : intra area 정보 ABR, 모든 area를 통과하지 못함. = ROUTER LSA
LSA Type3(summary link state area) >> O IA (다른 area) : inter area 정보 ABR, 모든 area를 통과함. = SUMMARY LSA
LSA TYPE5(external link state area) >> O E2 (inter AS정보) redistribute를 통해 들어옴 ASBR, 모든 area를 통과
1) E2 (METRIC이 합산되지 않음) >> default
2) E1 (METRIC이 합산됨)
totally STUB AREA --> TYPE3,TYPE5를 차단하는 AREA
IA E2
--> 차단하는 ABR이 Default Route를 전파함
(ABR이 다른 AREA의 정보는 알려주지 않지만, 모르는 경로는 나한테 보내라!)
--> router ospf 1
area 1 stub (no-summary)
*** 다른 OSPF 끼리 RIP가 되어 있으면 광고를 하지 않아 통신이 되지 않는데, 이때 Redistribute(재분배)를 통해 통신이 가능해짐.
PRACTICE 2)
Q1.
PRACTICE 3)
Q1) R4는 외부에 다른 AS와 연동된다(RIP를 사용하는 다른 ROUTER와 연동됨)
R4는 RIP으로 배운 경로를 OSPF로 재분배 하여, ASBR의 역할을 하게 된다.
R4)
#int loopback 100
#ip add 100.3.3.3 255.255.255.0
#int loopback 200
#ip add 200.3.3.3 255.255.255.0
#router rip
#version 2
#no auto-summary
#network 100.3.3.0
#network 200.3.3.0
#router ospf 1
#redistribute rip
C1. R3에서 show ip route ospf로 보면, 2개의 경로를 확인.
O E2 100.3.3.0/24 [110|20]
O E2 200.3.3.0/24 [110|20]
C2. R1,R2에 설정되어 있는 totally STUB area를 삭제
>> R1 IA, E2가 다시 보이는 것 확인
INTENSIVE 1)
Q1. Topology 구성 밑 AREA별 OSPF 설정
R2#show ip ospf neighbor
Neighbor ID Pri State Dead Time Address Interface
3.3.3.3 0 FULL/ - 00:00:39 10.1.23.3 Serial2/1
1.1.1.1 1 FULL/BDR 00:00:39 10.1.12.1 Ethernet0/0
1.1.1.1 0 FULL/ - 00:00:39 10.1.21.1 Serial2/0
4.4.4.4 1 FULL/DR 00:00:38 10.1.24.4 Ethernet0/1
O IA 1.1.1.1 [110/21] via 10.1.24.2, 00:01:58, Ethernet0/1
O IA 2.2.2.2 [110/11] via 10.1.24.2, 00:02:08, Ethernet0/1
O IA 3.3.3.3 [110/11] via 10.1.34.3, 00:02:18, Ethernet0/0
O IA 10.1.12.0/24 [110/20] via 10.1.24.2, 00:02:08, Ethernet0/1
O IA 10.1.21.0/24 [110/74] via 10.1.24.2, 00:02:08, Ethernet0/1
O IA 10.1.23.0/24 [110/74] via 10.1.34.3, 00:02:18, Ethernet0/0
[110/74] via 10.1.24.2, 00:02:08, Ethernet0/1
R4#traceroute 10.1.23.3 prob 2
C5. R1에서 ping 3.3.3.3 !!!!! 통신을확인 합니다.
R1#ping 3.3.3.3 !!!!!!
1. OSPF가 동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OSPF Packet의 종류
#show ip ospf neighbor (hello)
#show ip ospf database (DBD,LSU) | SPF
#show ip route ospf : ("O" 110 cost(bandwidth)) = RIB Table
L2 | L3 | OSPF | OSPF Packet |
2. OSPF AREA 종류
> 계층적인 Network을 구성하기 위해, AS안에 다시 AREA로 그룹화 한다.
> Backbone Area(area 0)
> Non Backbone Area (area 1, 50)
- 모든 Area는 반드시 Area 0 와 연결 되어야 한다. (ABR,
( AREA간 통신은 AREA0를 통해서만
3. OSPF AREA의 속정
1) STUB : TYPE5 차단 (default route는 자동 전파)
stub area는 반드시 외부로 나가는 구가 하나만 있어야함(단 한개의 ABR이 존재)
area 0(transit area)이거나, ASBR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stub 안됨
2) Totally STUB
stub과 동일 하지만 LSA TYPE 3(summary LSA)도 차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