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상에서 mail이 전송되는 과정을 파악하고 mail-server를 구축한다.
e-mail 송/수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3가지 인데, 이전에서 사용한 window mail-server 참고.
기존 SERVER를 NAMESERVER 및 MAILSERVER(NAVER.COM)로 사용
SERVER B를 MAIL SERVER(DAUM.NET)로 사용
MAIL SERVER1 - SERVER S/C ( mail.naver.com ) 으로 구성.
MAIL SERVER를 사용하려면 도메인을 관리하는 NAME SERVER구성이 필요한데, MAILSERVER 1을
NAMESERVER기능도 할당한다.

#NAMESERVER SETUP
apt -y install bind9 bind9utils 로 설치
/etc/bind/named.conf.options 파일 >


dnssec-vliadation autio; > no; 로 변경
recursion yes; > 추가
allow-query { any; }; > 추가
/etc/bind/named.conf 파일 >
zone "naver.com IN {
type master;
file "/etc/bind/naver.com.db";
};
zone "daum.net IN {
type master;
file "/etc/bind/daum.net.db";
};
추가
naver.com.db / daum.net.db 파일 >
$TTL 3H
@ IN SOA @ root. ( 2 1D 1H 1W 1H )
@ IN NS @
IN A 10.100.10.100(10.100.10.3)
IN MX 10 mail.naver.com.(mail.daum.net.)
mail IN A 10.100.10.100
추가
설정한 파일에 오류나 오타가 없는지 체크한다
named-checkconf
/etc/bind/ directory이동 후 naver.com.db와 daum.net.db 빈 파일 생성
toutch naver.com.db dum.net.db
#MAILSERVER SETUP
apt -y install sendmail 로 설치
/etc/hostname 파일 > mail.naver.com 내용 추가
/etc/hosts 파일 > 10.100.10.100(서버ip) mail.naver.com 내용 추가
/etc/mail/local-host-names 파일 > mail.naver.com 내용 추가
>> 편집 후 reboot 실행
각 MAILSERVER의 DNS를 본인의 IP로 설정 후
CLIENT(WIN / KUBUNTU)들의 DNS는 각각 SERVER A/B 로 설정 한다.


> 두 CLIENT ( WIN / KUBUNTU) 간 mail통신이 가능하다.
'가상화(VMwar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UBUNTU-SHELL SCRIPT (0) | 2022.06.02 |
---|---|
LINUX UBUNTU - PXE SERVER (0) | 2022.06.02 |
DNS(NAME SERVER) (0) | 2022.05.30 |
LINUX UBUNTU DBMS (0) | 2022.05.27 |
LINUX UBUNTU-HDD / RAID / VG (0) | 2022.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