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w to Get Not-Connected Network Information
> Static Route

> 경로가 같을때는 Static Route를 잡아주지 않아도 되는데, 이는 Routing Table 의 간소화때문이다.
ex) R3#ip route 10.0.0.0 255.0.0.0 10.1.3.1 > 10. 으로 시작하는 모든 Network가 Routing table 에 올라가기 때문에, 실제 사용되는 Network만 설정해주는 것이 Best Solution.
* NAT
IPv4 공인 address 고갈
1) IPv6 address(128bit) 약 10%
2) IPv4 private network address 약 90%
10.x.x.x
172.16~31.x.x
192.168.x.x
> Private Network를 NAT로 공인 Network대역으로 IP를 변환하여 사용
* Autonomous System (AS) = Internet = all AS connected
ISP
ISP Client
ISP는 사설network의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
> ISP의 Client의 수가 1억명이라고 가정하면, ISP는 모든 Client의 Network정보(Routing table)을 갖게되는데, 이는 부하나, Service Quality 등의 문제때문.
> NAT는 Source port 가 겹칠 경우 Table에서 자동으로 Source Port번호도 바꿔주기 때문에, Private Network들의 동시 공인Network로 통신이 가능하다.

Internet> IP setup / NAT / Default static Route
Each Routers > IP setup / Static Route
* Static Route
출력 Interface로(자기 자신이 가지고 있는 interface)설정
ex) 대전#ip route W1(x.x.x.0 255.255.255.0) port 대전>W1 = W1 로 가려면 port 대전>W1 을 통해 가라! 라는 의미
Destination Subnet/Subnet mask | Packet 전달 될 next hop : IP주소(다른 router의 interface)
*** Static Route 설정은 하나의 Router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SRC/DST 사이에 있는 모든 Router에서 설정 해야함.
cf) Static Default Route
> Routing Table에 Packet을 전송하기 위한 경로가 없을 경우 가장 마지막에 참조하는 경로
> 대전#ip route 0.0.0.0 0.0.0.0 (next-hop port)
* Network - C
- Not C - Dynamic Route(by Routing protocol) > Multiple connection
- Static Route(by User) > Single connection
Static Route | Dynamic Route | |
가용성(관리용이성) ▲ | ||
속도 ▲ | ||
보안 ▲ |
* Dynamic Route(Routing Protocol) : Multiple Connection

'NETWOR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ing Basic - FIREWALL(ACL) (0) | 2022.07.19 |
---|---|
Networking Basic (EGP, IGP) (0) | 2022.07.19 |
Networking Basic (0) | 2022.07.14 |
Networking basic (0) | 2022.07.12 |
Networking basic (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