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2 , L3, L4 , L7 , (FIREWALL / IPS / VPN : 보안장치)
N/W 설계 구축시 안정성이 더 우선시 됨.
창의성을 강조할경우 High risk.
> 최초의 Solution : 검증되지 않음
안정성
1. 모범
2. model (Tiered 3 Layer Model)
** Network 에선 TradeOff Relationship / 우위가 있다기보다 장단점이 있음
* Tiered 3 Layer model(With Core)
계층 | 장치 | 위치 | 역할 |
Core | Switch | each Site(Company) | Connect Distribution Layer |
Distribution | Router | each Building | Connect Access Layer |
Access | Switch | each Floor | Connect Devices |
* Tiered 2 Layer Model(Without Core)
계층 | 장치 | 위치 | 역할 |
Core | |||
Distribution (performing core layer) |
Router | each Building | Connect Access Layer |
Access | Switch | each Floor | Connect Devices |
* T2 / T3
T3(With Core) | T2(Without Core) | |
Cost | Bad | Good |
Availablility | Good | Bad |
Speed | Good | Bad |
* Congestion = Bottleneck = Packet drop
CPU Utilization > 100% 가 될 경우 Switch나 Router가 Packet 을 처리 하지 못하여 Memory에 저장하고
Memory Utilization > 100%가 될 경우 Packet Drop이 발생한다.
1) CPU
2) Bandwidth
> TCP 가 Packtet Drop 해결 (속도 필요한 Packet : UDP / 신뢰도가 필요한 Packet : TCP)
* 5가지 항목으로 비교 할 것
① 비용
② 가용성
③ 속도
④ 보안
⑤ 관리용이성
* basic topology
* in packet tracer
R0 / R1 / R2 / R3 EiGRP 구성
#router eigrp 100
#network 10.0.0.0
* Hierarchical address
우편주소 / 전화번호 / IP address
n/w 자리 / host 자리 / netmask 조합이 1조 줄이 필요한데, 메모리 / 속도 / 관리용이의 문제가 발생.
* 이를 해결하기 위해 Flat 주소가 필요함
1. Broadcast
SRC IP가 Broadcast로 packet을 보낼 경우 모든 Broadcast로 전송이 되어 각 device의 CPU를 모두 사용하기 때문.
2. 계급성이 없음
Routing : Layer 3 address 로 Routing 하는것.
> Routing Layer 2 function (옷갈아입히기)
> Layer 3
Switching : Layer 2 address 로 Switching 하는것
( Fast/GiGA Ethernet port : 2 계층 protocol )
1. Switch 2. LAN card 3. Port(증폭)
TCP(재전송 하는 protocol) Reliable |
UDP | |
Variety | HTTP, FTP, Telnet, SMTP | SNMP, Syslog, DHCP, DNS |
Packet Size | 길다 | 짧다 |
Distance | 멀다(길다) | 가깝다 |
* 3WAY-Handshaking
TCP SYN / DST port : 80
TCP SYN / ACK(window : 3000byte) 를 보냄.
TCP ACK
① ARP req/rep
② DNS Query (www.naver.com)
③ DNS Answer (IP address)
* WAN/LAN
특성 | 구축방식 | |
WAN | wide area : 넓은 영역을 연결하는 N/W | 임대를 해서 구축하는 N/W |
LAN | local area : 좁은 영역을 연결하는 N/W | 직접 구축하는 N/W |
* WAN Topology Models
Model 1 Model 2 Model 3
Model 1 Hub&Spoke |
Model 2 Full Mesh |
Model 3 Partial Mesh |
|
비용 | 100 | 0 | 50 |
가용성 | 0 | 100 | 50 |
속도 | 0 | 100 | 50 |
* Tiered 3 Layer Model 의 가용성을 높이는 방법은 이중화를 통해 가능하다.
* 이중화 / 비이중화 Model 비교
비교기준 | 이중화되지 않은 Model | 이중화 된 Model |
비용 | ▲ | ▼ |
가용성 | ▼ | ▲ |
속도 | ▼ | ▲ |
보안 | ▲ | ▼ |
관리 용이성 | ▲ | ▼ |
* Router/Switch 비교
비교 | Router(Layer 3) | Switch(Layer 2) |
공통점 | Switching | Switching |
Broadcast Packet 차단 | Broadcast Packet 차단 X | |
Network 분할 | Network 분할 X | |
Routing table 짧다 | Switching table 길다 | |
Packet 버리거나 Flooding | Packet 버리거나 Flooding |
'NETWOR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ing Basic (0) | 2022.07.14 |
---|---|
Networking basic (0) | 2022.07.12 |
VxLAN Underlay Network (0) | 2022.07.01 |
NX-OS (SWITCHING&ROUTING) (0) | 2022.06.23 |
NX-OS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