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CP Server : DHCP, DORA (3-way x , ARP x)
DNS Server : (3-way x , ARP o)
Web Server : (3-way o, ARP o)
Traffic - User
Protocol
STP(IEEE 802.1d)
약점 1. 노는 Link 발생
PVST(IEEE 802.1d) < MST(Multiple STP IEEE 802.1s)
PVST : Cisco / Background traffic up (Overhead)
MST : 표준 / 1. VLAN 별로 Grouping
2. Group 별로 Root Switch 선정
PVST > VLAN별로 STP 작동
MST > VLAN을 Group화 해서 Group별로 STP 작동
약점 2. Long Convergence Time (Protocol들이 Timer를 사용하기 때문)
Blocking > Forwarding 재계산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
* cf) Routing table 에서 경로 재계산도 Convergence time에 속함
ⓐ Maxage > 20초
① STP 재계산 > 15초 (Listening)
② Switching Table 재학습 > 15초 (Learning)
>> 위 문제를 해결 하는 Protocol이 RSTP(Rapid STP, IEEE 801.1w)
Alternate -> Root port 가 Topology change 하면서 BPDU를 다시 배포하고
Switching Table 을 삭제 시킨다.
* 이 때도 통신은 가능한데, Switch의 기능중 Flooding 때문에 가능하다.
ⓐ Maxage > 6초
①
②
Long convergence time의 Solution
1. Timer를 사용하는 protocol을 안쓰면 된다.
2. Timer를 줄여주면 된다. >> 가장 효율/현실적인 방법
* STP의 우위
MST ⊃ RSTP ⊃ PVST
* Routing
routing=relay process
자신이 가지고 있는 network정보와 다른 router로부터 받은 network정보를 교환함.
> 다음 router의 정보밖에 모름.
R2
'NETWOR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ing Basic (EGP, IGP) (0) | 2022.07.19 |
---|---|
Networking Basic (0) | 2022.07.15 |
Networking basic (0) | 2022.07.12 |
Networking basic (0) | 2022.07.11 |
VxLAN Underlay Network (0) | 2022.07.01 |